전국연합뉴스 유근택 기자 | 원주시가 사상 첫 예산 2조 원 시대를 맞이했다. 25일 시는 총 2조 439억 원 규모의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제1회 추가경정예산보다 1,938억 원이 증가한 금액으로, 회계별로 일반회계는 1조 8,010억 원, 특별회계는 2,429억 원이 편성됐다.
시는 이번 예산안에서 주요 현안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연두순방과 이동시장실에서 접수된 시민 불편 사항을 적기에 해소하는 데 집중했다. 또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예산을 편성해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침체된 민생경제 회복을 지원하고, 시민들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방침이다.
주요 재원은 일반회계 기준 지방세 143억 원, 세외수입 127억 원, 국·도비 보조금 946억 원, 순세계잉여금 79억 원, 국·도비 반환금 33억 원 등으로, 가용 재원을 총 투입했다.
특히 국세 세입 감소로 인해 재정 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시는 일부 사업을 선제적으로 구조조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전략적으로 재원을 투입해 현안 사업의 조속한 마무리에 집중했다. 동시에 이·불용률을 줄이고 건전한 재정 운용을 이어갈 계획이다.
주요 사업으로 ①민생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721억 원 △원주사랑상품권 발행 26억 원 △소공인 복합지원센터 구축 3억 5천만 원 △강원 소상공인 상생 직거래장터 5천만 원 △전통시장 안전관리패키지 지원 3억 원 △원주라면페스타 6천만 원 △강원 행복일터 조성 지원 1억 2천만 원 △혁신도시 미리내야행 6천만 원 등을 편성했고,
②미래 가치 투자에 △강원형 전략산업 투자펀드 조성 20억 원 △수도권 이전기업 지원 80억 원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기업 추가고용 지원 8억 1천만 원 △관내 투자기업 지원 10억 원 △한국반도체교육원 임시 운영 8천만 원 △반도체 소모품 실증센터 설립 4억 5천만 원 △강원 AI 헬스케어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 운영 6억 2천만 원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 2억 5천만 원 △친환경 디지털 헬스케어산업 지원센터 건립 6억 6천만 원 △강원RISE체계 지원 5억 6천만 원 △신평농공단지 조성 7억 7천만 원 등을 편성했다.
또한 ③시민안전과 빈틈없는 복지에 △혁신·기업도시 재난안전 전광판 설치 4억 2천만 원 △지하시설물 공동 조사 2억 원 △신림119안전센터 이전신축 1억 5천만 원 △원주공항 항공기 정비 보상 2억 2천만 원 △화물자동차 임시주차장 조성 10억 원 △문막교 재가설 40억 원 △도로 제설 23억 원 △흥양천 재해예방 40억 원 △소초면 학곡리 보행로(데크) 설치 4억 2천만 원 △도로조명 고효율 조명(LED) 설치 16억 원 △시내버스(교통카드 할인·환승) 재정지원 7억 원 △장애인 쉼터 조성 11억 원 △무실노인종합복지관 신축 2억 5천만 원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12억 원 △육아기본수당 지원 28억 원 △영유아 보육료 지원 45억 원 △어르신 스포츠시설 이용료 지원 2억 3천만 원 등을 편성했으며,
④생활 기반시설 확충과 시민 편익 증진에 △어린이예술회관 건립 5억 4천만 원 △문막읍 반계리 은행나무광장 조성 5억 원 △금빛똬리굴 조성 10억 원 △반곡공원 조성 15억 8천만 원 △반곡금대 관광열차 기반시설 정비 4억 6천만 원 △기업도시 복합체육센터 건립 29억 원 △동부권 종합체육단지 조성 8억 원 △봉화산 배수지 풋살장 기능 보강 4억 원 △치악산바람길숲 야간경관 개선 5억 2천만 원 △대원가스충전소-흥업원주대 간 도로 확포장 10억 원 △관설동 학마을 일원 도로 개설 5억 원 △36사단 백호정사 협의 이전 4억 원 △학성동 도시재생뉴딜사업 3억 원 △중앙동 주민자치센터 리모델링 7억 원 △흥업면 행정복지센터 신축 2억 9천만 원 △학성동 주민자치센터 신축 2억 6천만 원 △환경체육단지 풋살장 인조잔디 교체 2억 3천만 원 등을 편성했다.
이번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은 원주시의회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9월 12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원강수 원주시장은 “예산 2조 원 시대의 개막은 불안정한 경제 위기 상황 속에서도 민생 회복과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원주시의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지표”라며, “어려운 시기일수록 긴축재정이 아닌 적극재정을 통해 시민들이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