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연합뉴스 송경환 기자 | 서울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월 5일부터 12일까지 치러진 'C40도시기후리더십그룹 동아시아‧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지역 운영위원' 선거에서 과반수 득표로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운영위원이자 C40 부의장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C40는 기후위기의 영향과 대응의 최전선에 있는 전 세계 대도시 시장들이 주도하는 도시간 협의체로, 97개 C40 회원 도시는 인구 7억 명을 대표하며, 전 세계 경제의 25%를 차지한다. C40 도시시장들은 지구 온도 상승을 1.5℃ 내로 제한하기로 한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하고, 보다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으며 공정한 미래를 구현하기 위해 협업하고 있다.
C40 운영위원(부의장)은 C40의 임무 수행에 전략적인 감독역할을 하며, C40 회원 도시시장들의 투표로 선출된다. 운영위원은 총 16인으로 C40 의장 1인(사디크 칸 現 런던시장)과 유럽, 북미, 중남미 등 6개 지역소속 대도시시장 13인 및 인구 3백만 미만의 혁신도시(innovator cities) 시장 2인으로 구성된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장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C40 운영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했으나 이번 C40 운영위원 선출의 의미가 남다르다고 밝혔다. 과거와 달리 단독 후보로 출마한 것이 아니라 샐리캡 호주 멜버른 시장도 출마하여 오세훈 시장과 경합했으며, 또한 지역 내 이미 동아시아의 도쿄시장이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어 지역 균형상 불리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럼에도 오 시장은 동아시아‧동남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내 투표권을 가진 10개 도시시장으로부터 과반수 득표를 통해 C40 운영위원으로 당선됐다.
한편, C40 운영위원직은 도시가 아닌 시장 개인에게 주어지는 자격으로 이번 당선은 오세훈 시장의 과거 서울시장 재직기간(2006.7.1.~2011.8.26.)인 2006년 서울시가 C40에 가입하고, 2009년 5월 제3차 C40 총회를 개최하는 등 오래전부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장들과의 협력과 연대에 기여한 오 시장의 리더십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서울시는 2021년 6월 '대중교통 글로벌연대 C40시장 성명', 2022년 10월 'C40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장총회' 등에 참여하며 C40 활동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2021년 6월 시가 수립한 2050 탄소중립 기후행동계획 '2050 서울시 기후행동계획'을 C40에 제출하여 파리협정의 1.5℃ 제한 목표 달성에 부합하다는 C40의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이런 활발한 활동을 통해 서울시는 2022년 2월 기준 기후행동계획 수립과 이행 및 C40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등을 평가하는 C40 회원도시 의무 참여요건을 모두 충족했으며, 2022년 6월 및 2023년 2월 대기질 개선, 지속가능한 먹거리 정책 등을 C40 도시 정책사례집 발간을 통해 홍보하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오는 2월 16일 비대면 회의로 개최되는 C40 운영위원회의 참석을 시작으로 C40 운영위원으로서의 행보를 본격적으로 이어갈 예정이다. 해당 회의를 통해 2022년 C40의 개도국 도시 지원사업, C40 회원 도시의 대기질 개선 및 그린 일자리 창출 성과 등 작년 C40 활동 성과를 공유받고 2023년 C40 도시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기후행동 정책 및 C40 시장의 리더십 발휘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오세훈 시장은 C40 운영위원 당선을 계기로 C40 활동을 통해 기후약자와의 동행 정책을 세계도시에 널리 알리고, 민선 4선 시장으로서 쌓아온 시정 경험을 C40 도시들과 공유하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C40 도시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기후약자를 위한 집수리 보조와 건물에너지 효율화사업(BRP)을 추진하고 있으며, 서울 에너지닥터(에너지설계사)를 통한 에너지 컨설팅 지원 및 기업 연계 제로웨이스트(쓰레기줄이기) 분야 신규 일자리 발굴 등을 친환경 일자리 창출과 함께 기후위기에 따른 시민 안전 확보와 불평등 해소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장이 C40 운영위원이자 부의장으로 선출된 것은 서울시가 기후환경 리더십을 발휘하는 동시에 서울시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발판이 되는 것이다.”라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는 오는 6월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을 앞두고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존 사업을 추진해나가면서 국제협력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