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경제‧교육‧사회‧정책‧행정 등 사회정책 주요 학회와 토론회 개최

데이터 개방-연구-정책 환류의 선순환을 위해 정부와 학계가 머리를 맞댄다

 

전국연합뉴스 기자 | 교육부는 11월 25일, 르메르디앙 호텔(서울)에서 ‘데이터 기반 사회정책: 연구-정책 환류 방안 모색’을 주제로 사회정책 분야 5개 주요 학회와 함께 공개 토론회를 개최한다.

 

교육부는 사회문제가 복잡해지고 증거 기반의 정책 수립이 중요해짐에 따라 지난해부터 학계‧연구기관과 함께 공개 토론회*를 열어 ‘데이터 개방과 연계‧활용’에 대한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교육 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확대 방안'을 발표하여 교육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으며, 학령기 아동‧청소년 기본통계, 소득 이동 통계 등 여러 부처에 분산된 데이터를 연계한 신규 통계도 개발하고 있다. 아울러, 사회 분야 데이터를 활용하는 실증연구를 발굴‧지원하는 등 데이터의 개방과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도 노력해 왔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지금까지의 성과를 토대로 데이터 개방과 학제 간 교류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활성화하고, 연구 결과가 실질적인 정책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선순환 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한다. 아울러, 실증연구를 통해 사회 난제 해결 방안을 제시한 우수 연구자를 발굴‧격려하는 자리도 마련된다.

 

먼저, 5개 학회가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하고 저출생‧양극화 등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는 실증연구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어서 관‧학‧연 협력 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각 학회의 대표 연구자와 교육부·통계청·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부처의 공무원들이 ‘데이터 개방-연구‧분석-정책 환류’의 선순환 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사회 난제를 해결하고 더 좋은 사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인 정책 결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학계-연구기관 및 관계부처와 협력해 과학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정책에 반영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