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경찰청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다산 정약용 선생 189주기 묘제 성료

4월 7일 다산 정약용 기리는 전통 제례 진행

 

전국연합뉴스 조민준 기자 |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과 사단법인 다산연구소는 4월 7일 경기도 남양주시 정약용 묘소에서 ‘다산 정약용 선생 189주기 묘제(墓祭) 및 헌다례’를 성황리에 봉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다산연구소 회원, 다산전례문화보존회 회원, 수종사 삼정다회 회원 등 100여 명의 시민들이 함께하며 그의 학문과 위민(爲民) 정신을 기렸다.

 

* 묘제(墓祭) : 조상이나 위인을 기리고 감사를 표하기 위해 그의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 헌다례(獻茶禮) : 존경하는 인물에게 차를 바치며 예의를 표하는 의식

 

다산 묘제는 조선 실학을 집대성한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학문과 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한 행사이다. 실학박물관과 다산연구소는 정약용 선생 서세 170주기인 2006년부터 기일인 매년 양력 4월 7일(기일 1835년 음력 2월 22일을 양력일로 환산)에 다산 정약용을 흠모하는 시민들과 함께 모여 매년 묘제를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로 19년차를 맞이했다.

 

올해 묘제의 초헌관(初獻官,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은 김시업 실시학사 이사장이 맡았고, 아헌관(亞獻官,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은 정호영 정약용 7대 종손, 종헌관(終獻官,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은 조석봉 전 수레바퀴회 회장이 맡아 묘소에 예를 올렸다. 전통적인 제례 절차에 따라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이 술잔과 음식을 올리는 삼헌례(三獻禮)를 올린 후, 참여자들과 함께 음복(飮福, 조상이 내리는 복을 받는다는 뜻으로, 제사 후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 절차)했다.

 

또한, 정약용 유적지 해설 안내, 다산 생태공원 산책 등 따뜻한 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참여자들에게 더욱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했다. 묘제에 참여한 한 시민은 “다산 선생의 묘 앞에 직접 서보니 마음이 숙연해졌다.”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백성을 먼저 생각한 다산 선생의 마음에 큰 감동을 받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다산연구소 김태희 이사장은 “이번 묘제를 통해 다산 선생의 정신을 다시금 되새길 수 있었다”며 “헌관으로 참여해주신 세 분을 비롯하여, 행사 진행을 위해 애써주신 모든 분께 감사하다”고 밝혔다. 실학박물관과 다산연구소 두 기관은 앞으로도 실학 정신을 널리 알리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